함안 화천농악의 유래와 구성 > 풍물이란

본문 바로가기

풍물이란

함안 화천농악의 유래와 구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라가야풍물 댓글 0건 조회 3,594회 작성일 2003-07-29 02:13

본문


함안 화천농악(化川農樂)



경상남도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1991년 12월 18일 지정)

1059714980.jpg

1] 화천농악의 유래
함안 화천농악은 1963년 10월9일 열린 제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농악부문으로는 최초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한 경력이 대변하듯
가히 전국최고의 농악이다.
함안 화천농악의 발원지인 화천(化川)마을은 함안군 칠북면(漆北面)의 관할지역으로
이 지역의 동민들이 일년의 우순풍조(雨順風調)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전승하여 오던
농악으로 그 구성에 있어 지신밟기와 풍년굿이 중점이 된다.

대부분의 경상도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서도 농악을 [매구친다],
[쇠친다]라고 표현하며 정월 초3일(正月初三日--지신밟기),오월단오(五月端午--
농사채비),칠월伯仲(7월15일),상달(上月)인 10월 초하룻날,섣달보름날(12월15일)에
주로 즐겼다.

2]화천농악의 편성
1)악기 -- 쇠,징,북,장고,소고,법고.
2)복색 -- 채복,상모,고깔이 주이며,잡색은 각기의 복색으로 한다.
3)인원구성과 복색 -- 농악복은 백광목으로 바지 저고리 쪼끼 3색채복(홍청황)
(1)쇠 ---- 3명 -- 상쇠,부쇠,종쇠 모두 상모,농악복3색 채복,짚신.
(2)징 ---- 4명 -- 고깔,농악복3색 채복,짚신.
(3)북 ---- 5명 -- 고깔,농악복3색 채복,짚신.
(4)장고 -- 6명 -- 상모,농악복3색 채복,짚신.
(5)소고 -- 12명 -- '상 동'
(6)법고 -- 10명 -- '상 동'
(7)령기수(포지기) -- 1명-- 고깔,농악복3색 채복,짚신.
(8)농기수 ---------- 1명 -- '상 동'
(9)영기수 ---------- 2명 -- 백광목 바지 저고리,흑패자,흑립.
(10)양반 ----------- 1명 -- 갓,망건,도포,담배대,부채,짚신.
(11)각시(가장女) --- 1명 -- 고깔,여한복(치마 저고리),가발머리 댕기.
(12)포수 ----------- 1명 -- 털가죽모자,목총,짚망태.
(13)하동 ----------- 1명 -- 대나무갓,반두루마기.
(14)중 춤쟁이 ------ 1명 -- 삿갓,장삼,가사,나무짝지.
(15)농부춤쟁이 ----- 1명 -- 가발상투,무명바지저고리,머리수건.

4) 삼색 채복의 상징
* 황 색 --- 백 호 ---(우측어깨)
* 청 색 --- 청 룡 ---(좌측어깨)
* 홍 색 --- 황 제 ---(허리부위)


3] 화천농악의 내용(12마당의 구성 순서)
(1) 길 굿(질굿)
(2) 살풀이굿
(3) 덧배기굿
(4) 지신밟기굿 -- 1)4방. 2)5방. 3)8방. 4)마당밟기. 5)성주풀이.
(5) 진(陣)놀이굿
(6) 고사리꺾기굿
(7) 번버꾸놀이굿
(8) 영산다드래기굿
(9) 호호굿
(10) 원풍대놀이굿
(11) 잦은 장단놀이굿
(12) 풍년농사기원굿

4] 함안 화천농악의 특색
(1) 풍년농사 기원굿 -- 농작의 농악.
:이 굿놀이는 농사를 지을 때 일꾼들이 농악가락에 맞추어 벼농사의 씨나락
뿌리기부터 뒤주 모으기까지의 과정의 표현을 농악으로서 연기하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2) 상모
:타지방의 상모와 다른 순수한 전통 상모인 4발 상모이다.(4m가량)
(1963년 10월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대통령상--에서 화천농악이 처음사용)

5] 화천농악 상쇠(박동욱 선생-2002년 작고) 가락의 특색
(1) 살풀이 쇠가락
:굿거리 춤가락이며 타 지방(홑가락,접가락)에서 보기드문 늦은 살풀이 접엇가락과
잦은 살풀이 접엇가락이 특색
이다.
(2) 영산다드래기 쇠가락
:영산다드래기 쇠가락에는 성황굿가락,정호(새미-우물)굿가락,문전굿가락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타 지방 쇠가락은 다다당,다다당,다다다다다다당...하는
홑가락 뿐인데 비해 화천농악 쇠가락은 다르르르르당,다르르르르당,다르르.........당
하는 접엇가락 다드래기로서 동일 시간내에 4접을 치는 것이 특색이다.

6] 함안 화천농악의 주요 수상내역
** 1963년 10월9일 제4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대통령상 수상.
** 1984년 11월4일 제34회 개천예술제 전국농악대회 최우수 내무부장관상.
** 1986년 10월18일 제2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문화공보부장관상.
** 1988년 6월17일 제14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농악대회 장원상.
** 1991년 10월18일 제3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농악부분상.
****** 기타 다수의 수상경력은 생략 *****


7] 함안 화천농악 각본
* 정상적인 놀이 굿마당(12마당)을 완전히 끝내는 때는 1시간 20분(80분)이 소요됨 *

1) 길 굿
:맨먼저 농악대원이 흩어진 상태에 있다가 상쇠가 12/8박을 치면 전 대원은
일렬종대로 늘어서 "길 굿" 형태를 만들어 놀이마당(무대)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때의 대형은 맨앞에 기(旗),쇠,징,북,장고,소고,법고,잡색의 순으로 선다.
놀이 마당에 들어서면 원형을 그리며 돌게 되는데 도는 방향은 시계 반대방향이며,
소요시간은 3분 정도이다.

2) 살풀이 굿
:원형상태에서 상쇠가 쇠를 꺾으면 살풀이 굿마당인 3원을 만들어 가락에 따라 춤을
추는데 기수와 호적은 원 밖에 서고 원 안에 상쇠,부쇠,종쇠가 선다.
이때의 3원은 맨 안쪽에 잡색이 만든 원,다음이 법고가 만든 원, 최외곽의 원은
소고,장고,징,북등이 만들어 약 5분동안 춤을 추며 논다.

3) 덧배기 굿
:살풀이 굿마당 형태에서 상쇠가 12/8박 덧배기 가락으로 바꾸면 소고는 상모놀이,
법고는 법고놀이, 잡색등은 제각기 장기놀이를 하며 노는데 시간은 3분정도 이다.

4) 지신밟기 굿
:영산다드래기 굿마당에서 상쇠가 쇠를 꺾으면 부쇠,종쇠,징,북,장고등이 동쪽에
한 개의 원을,소고가 서쪽에 한 개의 원을,잡색등이 남쪽에 한 개의 원을,법고가
북쪽에 한 개의 원을 만드는데 이것을 4방 지신밟기굿이라고 한다. 이때에 상쇠는
중앙에 서서 4/4박,12/8박을 번갈아치며 노는데 5방 지신밟기굿은 중앙의 상쇠를
포함시킨다. 8방지신밟기 굿은 상쇠를 선두로 덕석말이처럼 작은 원을 사방에
만들었다가 다시풀며 노는 터를 울리는 놀이굿으로(대사는 별첨) 연기시간은
12분이 소요된다.

5) 진(陣)놀이 굿
:지신밟기 굿 형태에서 상쇠가 쇠를 꺾으면 전 대원이 하나의 원을 그리게 되고,
상쇠가 중앙에서 4/4박,12/8박 덧배기 가락을 치면 상쇠 좌우에 이열종대로 편을
갈라 진의 형태를 만든다. 다시 상쇠가 쇠를 꺾으면, 야~!! 하며 상대의 진으로
돌진했다가 뒤로 물러서기를 반복해서 노는 진놀이 굿마당으로 진놀이 시간은
5분 정도이다.

6) 고사리꺾기 굿
:진놀이 굿 상태에서 상쇠가 쇠를 꺾으면 뒤로 물러나 원형을 만들어 쪼그리고 앉아
놀다가 상쇠의 쇠가락에 맞추어 부쇠와 종쇠가 선두가 되어 앉은 대원의 주변을
돌아 나갔다가 되돌아서 원래의 형태를 만들며 노는 마당으로서 이때 상쇠는
자진덧배기 12/8가락을 치는데 소요시간은 8분 정도이다.

7) 버번꾸 놀이 굿
:위 7번의 상태에서 상쇠가 3/4박 가락으로 쇠를 꺾으면 지신밟기굿의 4방형태를
만들어 좌우로 돌며 제각기 제비놀이를 하며 노는 굿마당으로 시간은 6분 정도
이다.

8) 영산다드래기 굿
:앞의 놀이마당 형태에서 상쇠가 4/4박 영산다드래기로 가락을 바꾸면,모든 단원은
시계 반대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다시 반대방향,시계방향등으로 방향을 바꾸어가며
각자의 특기놀음을 신나게 도는데 시간은 8분 정도 소요된다.

9) 호호 굿
:버번꾸 놀이 굿에서 상쇠가 12/8박의 길쇠가락을 치면 대원 전원은 살풀이 형태의
굿마당으로 바꾸어 가볍게 노는 놀이인데 시간은 2분 정도이고,사실상 휴식을 위한
놀이이다.

10)원풍대 놀이 굿
:호호굿마당에서 휴식을 취한후 3/4박으로 쇠를 꺾으면 되돌아서서 두줄을 만들었
다가 원형대로 돌아서면서 새을(乙)자와 갈지(之)자 진을 만들며 노는데 이때의
특색은 발을 높이들어 공중으로 솟구쳐 계속 뛰면서 노는 원풍대 놀이굿으로
8분 정도이다.

11)잦은 장단 놀이 굿
:원풍대 놀이 마당에서 잦은 장단 놀이로 넘어갈 때 상쇠는12/8박의 덧배기 빠른
가락을 친다. 이때 상쇠는 원안에서 이리저리 다니며 전대원 각자에게 제각기의
놀이를 시키는 놀이마당으로서 시간은 5분정도 소요된다.

12)풍년농사 기원 굿
:풍년농사 기원굿은 화천농악의 대미(大尾)를 장식하는 절정의 놀이마당으로 풍년을
축하하며 잽이들이 기예를 뽐내고 한판 노는 부분으로 소요시간도 15분 정도로
최장시간이 소요된다. 잦은 장단 놀이마당 상태에서 상쇠가 쇠를 꺾으면 직사각형의
형태를 만들고 그 중앙에 상쇠가 서서 덧배기 가락을 친다.
이때 농악대원 전원은 쇠가락에 맞추어 씨뿌리기부터 뒤주모으기까지의 전 농사과정을
행동으로 나타내며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굿이다.

가)농사풀이(상모잽이들을 중심으로 한 전대원들의 놀음)
: 씨뿌리기 -> 모찌기 -> 모내기 -> 김매기 -> 벼베기 -> 타작
-> 뒤주쌓기(풍로 푸치기 -> 볏섬 내리기)
나)개인놀이
: 북춤 -> 설장구

연기가 모두 끝나면 상쇠는 행진가락으로 바꾸어 쇠를 치고 대원들은 길굿 대형을
만들어 퇴장하게 된다.

* 참고) 12마당 놀이 굿을 완전히 연기하는데는 80분의 장시간이 소요되지만 시간
제한이 있을 때에는 각 놀이마당마다 반복되는 놀이를 삭제하여 시간을
맞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풍물이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 아라가야풍물 5857 2003-07-29
13 아라가야풍물 5417 2003-07-29
12 아라가야풍물 7041 2003-07-29
11 아라가야풍물 13937 2003-07-29
10 아라가야풍물 5429 2003-07-29
9 아라가야풍물 3857 2003-07-29
8 아라가야풍물 3027 2003-07-29
7 아라가야풍물 3313 2003-07-29
6 아라가야풍물 5392 2003-07-29
5 아라가야풍물 2845 2003-07-29
4 아라가야풍물 3479 2003-07-29
3 아라가야풍물 3299 2003-07-29
2 아라가야풍물 2780 2003-07-29
1 아라가야풍물 3595 2003-07-29
게시물 검색
  • 아라가야풍물연구회   사무실 겸 연습장 : 경남 함안군 가야읍 함안대로 619-1 함안공설운동장 내 (함안체육관 옆)
  • 전화 : 010-6663-4900   연습 : 매주 월요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
  • Copyright ⓒ 아라가야풍물연구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