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악기 - 장구 > 풍물이란

본문 바로가기

풍물이란

풍물악기 - 장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라가야풍물 댓글 0건 조회 5,392회 작성일 2003-07-29 02:29

본문


풍물악기 중에서 가장 많이, 그리고 널리 쓰이는 악기는 장구일 것이다. 그만큼 판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와 소리를 만들어 내는 오묘함이 장구에 서려있다는 뜻 일 것이다.
그러한 장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장구를 어떻게 보관·수리해야 하는지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1. 명 칭
장구는 풍물악기에서 북, 소고 등과 같이 가죽악기로 분류된다. 양편 머리가 크고 그 허리가 가늘다 하여 세요고(細要鼓)라고도 한다. 흔히 사람들 중에 장고냐? 장구냐?로 의견이 분분한데, 한자로 지팡이 장(杖)과 북 고(鼓)를 쓰면 '장고'가 맞고, 노루장(獐)과 개구(拘)를 쓰면 '장구'도 맞겠다.

2. 유 래
장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 문종 30년(1076년)에 대악관현방(大樂菅絃房)을 정할 때 장고업사(杖鼓業師 : 장구 연주자라는 뜻)가 있었다고 한다.

장구가 요즘에 쓰이는 형태로 크기가 커진 것은 고려 때로 추측되며, 장구가 중국에서 만들어져 우리 나라로 전해졌다고 한다.

3. 쓰 임 새
『고려사악지』의 <당악기조>, <향악기조>에 각 각 장고가 들어 있고, 조선 세종 때 [악학궤범]에 의하면 장구가 당악과 향악에 어울려 쓴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장구는 처음에 당악(당에서 들어온 음악), 향악(옛날부터 내려오는 우리의 음악)에 쓰였으며, 지금은 정악, 산조, 잡가, 민요, 풍물굿, 무악 등 거의 모든 음악에 쓰이고 있다.

두 손으로 치기 때문에 가장 다양한 소리를 내며, 어깨춤이 절로 나게 만든다. 분위기를 흐드러지게 하고 풍성하게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악기이며, 민요나 춤 장단을 칠 때는 궁편을 손으로 치기도 한다.

4. 구 조
왼쪽(북편, 궁편)은 소가죽, 말가죽을 대어 가죽을 두껍게 해 소리가 낮으며, 오른쪽(채편)은 보통 두께가 얇은 양가죽이나 말가죽을 대어 높은 소리를 낸다.
가죽으로는 개가죽이 소리도 좋고 울림도 커서 가장 좋게 쳐준다. 옛날엔 노루가죽을 궁편에 대고 개가죽을 채편에 대었지만 요즘은 양쪽 다 개가죽을 대어 많이 쓰인다.

장구통의 재료는 사기, 쇠, 나무, 양철 등을 쓰는데, 현재는 가벼우며 소리에 있어서도 좋은 편인 나무통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만드는 방법에 따라, 통나무를 쓰는 '통장구'와 나무조각을 붙여 만드는 '쪽장구'가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쓰는 통은 오동나무 장구통이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무겁기는 하나 다른 나무에 비해 좋은 소리를 내는 소나무통 정도가 쓰이고 있다. 장구통 모양은 궁편 쪽이 넓어 소리 울림이 크고, 채편 쪽은 궁편보다 길고 좁아 소리 울림이 적다.

장구통의 궁통과 채통을 이어 주는 곳을 흔히 '조롱목'이라 하는데, 조롱목이 너무 넓으면 소리가 헤프고, 조롱목이 너무 좁으면 소리가 되바라진다.
장구 조립은 가죽둘레(철테-원철)에 8개의 쇠고리(쇠갈고리, 구철)를 걸어, 무명을 꼬아 만든 줄(숫바, 홍진사, 축승)로 얽어 매고, 죔줄(축수, 부전)을 좌우로 움직여 소리를 조절한다.

장구의 채로는 궁채(궁글채)와 열채(가락채)가 있는데, 궁채는 대나무 뿌리를 잘 삶아서 똑바로 편 다음, 끝부분에 박달나무와 같이 단단한 나무나 뿔을 끼워서 만들고, 열채는 대나무를 깎아서 만든다.

5. 고르는 법
장구는 완성되어서 판매되는 악기가 아니다. 따라서 장구를 고를 때, 다른 모든 악기가 그러하겠지만 직접 악기 판매하는 곳에 가서 통과 가죽의 음색을 살피어 고르는 것이 좋다.
통을 고를 때 통모양(외모)보다는 장구의 음색(음양)의 조화를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앉은반 장구인가, 선반 장구인가에 따라 통의 상태와 무게에 신경을 쓰는 것도 필요하다.
가죽 또한 통과 같이 소리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된다. 보통 가죽을 고를 때, 여러 가죽 중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질을 골라야 하지만, 가죽에 따라 소리가 뚜렷하게 구분되므로 원하는 궁편, 채편의 소리를 찾고 나서 그 속에서 질을 보는 것이 좋겠다.

가죽을 고를 때는 반드시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 있다.
장구 가죽 중에 종이처럼 하얗고 두꺼우면서 음색이 낮은 가죽이 있는데, 이것이 소가죽의 내피(內皮, 안가죽)로 만든 '궁현가죽'이며 궁편을 손바닥으로 치는 반주장구(무굿, 소리, 춤 등 궁편보다 채편소리를 살리는 경우)에 흔히 쓰는 것이다. 따라서 채편 못지 않게 궁편을 중시하는 풍물장구용으로는 탄력이 부족한 소가죽이 적절치 않다.

악기구입은 되도록 공연 일주일이나 보름 전에 구입해 연습으로 길을 들여 공연을 하는 것이 좋다.

6. 관 리 법
악기는 쇠보다 가죽악기가 날씨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통은 조심히 다뤄 깨지지 않도록 하면 되지만, 가죽은 여름에는 습기를 먹어 누굴누굴해지며, 소리가 잘 나지 않고, 겨울에는 날씨가 건조해 수분이 말라 소리가 탱탱 거리며 잘 찢어진다.

① 통 ; 통은 깨지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과 6개월에 한번씩, 가죽과 만나는 통둘레에 채가 맞아 움푹깍여 있는 자리를, 장구를 해체 한 후 사포나 대포로 다듬어 다시 매어 쓰는 것이 좋다.

② 가죽 ; 풍물을 치고 난 뒤, 꼭 가죽상태가 어떤지를 확인하고 보관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가죽이 조금이라도 찢어져 있을 경우에는 투명한 스카치테이프를 붙여 더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여름에는 연습 후나 모임시간에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30분 정도 말려 가방에 보관하고, 겨울에는 장구를 치기 전에 물을 가죽에 발라 치기도 한다.

④ 채 :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채도 여름에는 습기를 먹어 곰팡이가 잘 슨다. 곰팡이가 슬면 물걸레로 곰팡이를 닦아주고, 그늘에 말려서 쓴다.

그 외에도 장구는 되도록 악기 가방에 넣어 보관한다.

7. 수 리 법
장구가 파손된 경우 장구 전체를 새로 구입하기보다는 파손된 부분 부분의 재료를 구입하여 수리하는 것이 좋다. 또 재료를 새로 구입하지 않고 파손된 부분을 직접 수리해 쓸 수 있다면 더더욱 좋을 것이다. 이제, 장구를 직접 수리하여 쓰는 방법을 살펴보고 사용할 때 유의해야 할 것도 함께 보도록 하자.

① 수리용품 ; 오공본드(나무접착제), 자전거 짐 묶는 줄(또는 고무줄), 면실, 바늘, 양초, 투명테이프(넓은 것), 기타 가위와 같은 문구용품

② 금이 간 통 ; 금이 간 부분을 벌려 접착제(나무용 오공본드)를 발라(안에까지) 10여분 뒤에 통선을 잘 맞춘 후 고무줄로 통을 동여매어 3일 정도를 두었다 고무줄을 풀면 거의 완전하게 다시 붙는다.

③ 찢겨진 가죽 ; 가장 쉬운 방법은 가죽을 말려 안과밖에 넓은 스카치 테이프를 두세겹으로 붙여서 쓰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쓰다보면 테이프 주변이 지저분해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손이 많이 가고 복잡하기도 하지만 가장 완벽한 것은 가죽을 꿰매는 것이다. 먼저 찢겨진 주위에 바늘로 구멍(선에서 3㎜)을 뚫은 다음에 바느질을 한다. 바느질을 한 후에 양초를 녹여 바느질 주변을 촛농으로 메운다.

④ 늘어진 가죽 : 가죽이 너무 늘어져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거나, 찢겨진 가죽을 수리하기 전에, 가죽을 하루정도 물에 담가놓았다가 약 3일 정도를 그늘에서 말리면 가죽이 새것처럼 편편해진다.

이러한 여러 수리법 중에 가장 중요한 점은 악기가 조금 파손되었을 때 바로 수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금 파손된 악기를 그대로 방치하여 계속 사용하다 보면, 수리가 불가능해질 정도로 악기가 파손되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풍물이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 아라가야풍물 5858 2003-07-29
13 아라가야풍물 5417 2003-07-29
12 아라가야풍물 7043 2003-07-29
11 아라가야풍물 13938 2003-07-29
10 아라가야풍물 5430 2003-07-29
9 아라가야풍물 3858 2003-07-29
8 아라가야풍물 3028 2003-07-29
7 아라가야풍물 3314 2003-07-29
6 아라가야풍물 5393 2003-07-29
5 아라가야풍물 2845 2003-07-29
4 아라가야풍물 3480 2003-07-29
3 아라가야풍물 3299 2003-07-29
2 아라가야풍물 2780 2003-07-29
1 아라가야풍물 3595 2003-07-29
게시물 검색
  • 아라가야풍물연구회   사무실 겸 연습장 : 경남 함안군 가야읍 함안대로 619-1 함안공설운동장 내 (함안체육관 옆)
  • 전화 : 010-6663-4900   연습 : 매주 월요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
  • Copyright ⓒ 아라가야풍물연구회 All rights reserved.